[include(틀:과학동아리)] {{{#!wiki style="text-align:center" [[분류:동아리]][[분류:과학동아리]] ||<-2><:><tablewidth=30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c000><tablebgcolor=#ffffff><colbgcolor=#000000><colcolor=#ffc000> {{{+2 '''Pulcherrima'''}}}[br]풀체리마|| ||<-2> [[file:Pucherrima.png]] || || '''과목''' || [[지구과학]] (中 천문학) || || '''동아리실''' || [[하나마루]], --[[지구과학실험실]]--[* 아르키에게 뺏겼다.][* 2021년 과동발표회 때 지구과학 2실을 극적으로 탈환했다.][* 그러나 2023년 언리버에게 뺏겼다.] || || '''링크''' ||[[https://www.youtube.com/channel/UCplIsa1QW2a_eQcvtJAymXw|[[file:유튜브아이콘.svg|width=20]]]] [[https://cafe.naver.com/gbshspulcherrima|[[file:네이버카페아이콘.svg|width=20]]]] [[https://www.instagram.com/pulcherrima_gbs/|[[file:인스타아이콘.svg|width=20]]]] || }}} ==개요== >Only Stars be Glowing Upon Us. [youtube(6jxOhJ7LToQ)][* 2021 소개영상] Pulcherrima는 2005년, 1기 때부터 창설되어 이어진 [[경기북과학고등학교]]의 유일한 천문동아리이며, 2021년 기준 인원은 18명이다. ==동아리명 유래== Pulcherrima는 목동자리 ε(ε Boo)이며 라틴어로 "가장 아름다운 것"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해당 별은 Izar라는 다른 이름도 가지고 있다. == 장비 == H-alpha 필터, 경위대식 가대, 적도의식 가대, 수많은 삼각대, 수많은 DSLR과 SD카드, Meade 16인치 카세그레인식 반사망원경, Takahashi 13cm 굴절망원경, Vixen R200SS 망원경, Vixen 태양망원경(+태양필터), 이외에도 수많은 굴절망원경, 5대의 컴퓨터(하나는 무려 2080TI에 수십 TB의 용량을 갖고 있다), 냉각 흑백 CCD, 냉각 컬러 CCD, 냉각 컬러 CMOS, 수많은 돕소니안 망원경과 아이피스(접안렌즈), 그리고 5개의 별지시기(레이저)[* 이상하게 다른 동아리 학생들한테는 이 레이저가 가장 인기가 많다] 등등이 있다. ==활동== ===평상시 활동=== 천체 관측 동아리이나, 정규 수업시간으로 잡힌 동아리 시간이 주간에 있어 이때는 보통 천문 이론 세미나나 회의, 과학동아리 발표회 준비 등을 하게 된다. ===공개관측회=== 전교생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관측회이며 장소는 옥상 전체이다. 개최 주기는 일정하지 않다. 해당 시기에 가장 잘 보이는 천체 또는 아름다운 천체를 위주로 망원경을 통해 관측할 기회를 얻을 수 있고, 하늘에 있는 별자리와 별들에 대해 부원들이 설명해 준다. 2022년에는 11월 8일 개기월식을 맞이하여 공개관측회를 진행하였다. === 과학동아리 발표회 === 과거에 만들었던 수제 플라네타리움을 2021학년도에 다시 부활시켜 그 안에서 타로를 보는 활동을 했다. --분위기가 미쳤다-- [[파일:planetarium2021.jpg|width=300|align=center]] 이외에도 지구과학 2실에서는 암적응을 응용한 보물찾기, 복도에서는 태양계 양궁, 파동발생기실에서는 행성알까기[* 말이 행성이지 태양과 베텔기우스 등도 있었는데, 이거 걸리면 무조건 이겼다] 등의 활동을 진행했다. === 소규모 프로젝트 === 소규모 프로젝트는 풀체리마에서 진행하는 선후배간 1:1 연구(및 연구멘토링) 활동이다. 다만, 기수 별 인원차이가 있다면 1:1은 아닐 수 있다. == 특징 == ===천문올림피아드=== 거의 매년 국제천문올림피아드(IAO) 또는 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IOAA)에 국가대표가 1명씩정도는 배출되고 있다. 2021년에는 무려 15, 16, 17기 모두 각각 1명씩 선발되었다. 2022년 KAO 겨울학교에서 개인 천체사진 1등, 골든벨 3등의 쾌거를 이루었다. --골든벨 1,2등은 솔직히 컨닝이 의심된다.-- 2023년에는 18기 한명과 19기 두명이 지원하기는 했다.(--19기는 ㅎㅎ--) ==여담== --18기 모 학생이 과동 선호도 조사에서 이름을 퓨리케마로 쓰는 만행을 저질렀다..-- 담당선생님은 경기북과학고 명실상부 가장 온화한 선생님이다. --오고있엉?-- --죄송하면 내일와서 설명하렴-- ==경쟁률== 2023학년도에 무려 18명이 지원하여 3:1의 전설의 경쟁률을 선보였다!!--하지만 하위 6명을 뽑은 듯 하다--[* 상당수의 동아리에서 풀체 떨들이 목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