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이세계 아이돌)] ||<tablewidth=7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64371>{{{#!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왁타버스_채널아트.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4371, #F361A6)" {{{#ffffff {{{-2 왼쪽부터}}}[br] '''[[주르르|{{{#!html <span style="text-shadow: 1px 0px #fff, 0px 1px #fff, -1px 0px #fff, 0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color:#800080">주르르</span>}}}]] · [[징버거|{{{#!html <span style="text-shadow: 1px 0px #fff, 0px 1px #fff, -1px 0px #fff, 0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color:#f0a957">징버거</span>}}}]] · [[비챤|{{{#!html <span style="text-shadow: 1px 0px #fff, 0px 1px #fff, -1px 0px #fff, 0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color:#85ac20">비챤</span>}}}]] · [[고세구|{{{#!html <span style="text-shadow: 1px 0px #fff, 0px 1px #fff, -1px 0px #fff, 0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color:#467ec6">고세구</span>}}}]] · [[릴파|{{{#!html <span style="text-shadow: 1px 0px #fff, 0px 1px #fff, -1px 0px #fff, 0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color:#000080">릴파</span>}}}]] · [[아이네|{{{#!html <span style="text-shadow: 1px 0px #fff, 0px 1px #fff, -1px 0px #fff, 0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color:#8a2be2">아이네</span>}}}]]'''}}}}}} || ||<-2><height=90><table align=right><table 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e9497c><colbgcolor=#e9497c><colcolor=#fff>{{{#!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4371, #F361A6);" {{{#!wiki style="display: block; float: left; width: 37%; text-align: right" [[파일:이세계 아이돌 로고.png|height=70]]}}}{{{#!wiki style="display: block; float: right; width: 58%; text-align: left; border-left: 1px solid #fff; padding-left: 20px; padding-top: 8px" {{{#fff '''{{{+2 이세계 아이돌}}}'''[br]Isegye Idol[* 가끔 예전 팬아트나 팬 굿즈를 보면 ISEKAI로 표기되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영어 표기가 정해지지 않았을 때라 임의로 표기했던 것이다.] | イセゲアイドル}}}}}}{{{#!wiki style="display: block; clear: both" }}}}}} || ||<width=100><height=36> '''그룹명''' || 이세계 아이돌[* 약칭은 '이세돌'. 모르는 사람에게 '이세돌'이라고 줄여서 말하면 바둑 기사 [[이세돌]]로 오해가 생길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착안된 '이세돌' 암구호 밈이 존재한다. 간혹 바둑기사와의 구분을 위한 '이세계돌'이라는 약칭도 보인다.] || ||<height=60> '''결성일''' || [[2021년]] [[8월 26일]][br]{{{-2 (결성일로부터 '''[dday(2021-08-25)]일, [age(2021-08-25)]주년''')}}} || ||<height=60> '''데뷔일''' || [[2021년]] [[12월 17일]][br]{{{-2 (데뷔일로부터 '''[dday(2021-12-16)]일, [age(2021-12-16)]주년''')}}} || ||<height=40> '''데뷔 음반''' || {{{-4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E5D85C" {{{#000,#fff 싱글 1집}}}}}}}}} [[RE : WIND|'''{{{{{{#!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1bb80, #E5D85C); font-size: .8em" {{{#ffffff RE : WIND}}}}}}}}}''']] || ||<height=36> '''장르''' || [[댄스]], [[발라드]] || ||<height=60> '''소속사''' || [[왁 엔터테인먼트|[[파일:왁엔터테인먼트 로고.svg|width=50]]]][* '''가상의 엔터테인먼트''' 회사다.] || ||<height=36> '''팬덤'''[* 보통 아이돌은 그 그룹만의 팬덤명이 존재하지만, 이세계 아이돌은 독립적으로 활동하는 인터넷 방송인이기 때문에 다른 아이돌과 다르게 멤버마다 팬덤명이 정해져있고 그룹 전체의 팬덤은 공식적으로 정해지지 않았다. [[우왁굳]]의 주도로 결성된 그룹이기 때문에 우왁굳의 팬덤인 [[침팬치]]를 그대로 쓰기도 하고, 멤버 6인 중 [[고세구]]의 세균단을 제외한 5인이 동물의 이름을 사용하다 보니 다양한 동물이 뒤섞인 '''키메라'''라는 이름을 쓰기도 한다. 간혹 침팬치도 동물이니 키메라에 포함된 것으로 여겨지기도 하며 키메라라는 별명이 쓰이기 전에는 [[끔찍한 혼종]]이라는 별명이 사용되었다.] || [[침팬치| [ruby(침팬치, ruby=(비공식))] ]] | [[키메라| [ruby(키메라, ruby=(비공식))] ]] || || '''링크''' || [[https://www.youtube.com/user/welshcorgimess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이세계 아이돌 외 고정 멤버 영상도 업로드된다.] | [[http://cafe.naver.com/steamindiegame.cafe|[[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width=20]]]][* [[왁물원]] 내 별도 게시판이 존재한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tablealign=center><tablewidth=700><tablebordercolor=#7fa45b><tablebgcolor=#ffffff,#1f2023><width=45%>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세돌-이세계아이돌.gif|width=100%]]}}} || >'''둘, 셋! 차원을 넘어!'''[* 데뷔곡 [[RE : WIND]]의 가사 일부이다.] '''안녕하세요, 이세계 아이돌입니다!'''[* 해당 구호는 2021년 12월 19일 진행된 이세계 아이돌 1차 팬미팅에서 멤버 [[릴파]]로부터 처음 제안되었으나, 당시 급박한 행사 진행과 스테이지 자리별 볼륨 조절 등 여러 이슈로 인해 묻혀져 있다가 2022년 2월 22일 ER 인비테이셔널에서 릴파에 의해 다시 팀 구호로 정해졌다. 멤버들이 호스팅을 할 때, 받는 멤버가 이 구호를 외치는 경우가 있다.] 이세계 아이돌은 트위치 스트리머 [[우왁굳]]이 기획한 프로젝트[* 2021년 7월 10일부터 8월 26일까지 진행된 오디션을 통해 멤버가 선발되었다.]를 통해 만들어진 6인조 버츄얼 [[걸그룹]][* 기획자인 우왁굳 본인은 [[https://www.youtube.com/watch?v=vDU4L3Tvo8Q|버츄얼 아이돌]]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였다. 각 멤버들이 인터넷 방송 활동도 하기 때문에 [[버츄얼 유튜버]]로도 분류할 수 있다.]으로, 2021년 12월 17일 디지털 싱글 앨범 [[RE : WIND]]를 발매하여 정식으로 데뷔하였다. == 특징 == === [[우왁굳/콘텐츠|우왁굳의 개인 콘텐츠]] === 이세계 아이돌은 버츄얼 아이돌 그룹을 컨셉으로 삼고 있고, 실제로도 앨범을 발매하면서 음악 활동을 적극적으로 이어가고 있지만, 처음부터 장기 프로젝트로 계획된 것은 아니었다. 우왁굳은 이전부터 동등한 스트리머들끼리의 합방보단 자신의 주도 아래 시청자들이 방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시참' 콘텐츠를 선호했다. [[https://youtu.be/VhB1i3avHQg|#]] 하지만 방송에 참여할 시청자를 매번 무작위로 뽑게 되면 방송의 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었기 때문에 방송 센스가 좋고 우왁굳의 지시를 잘 따르는 시청자를 선발해서 시청자 참여 콘텐츠에 우선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권한을 주었는데, 이것이 '[[우왁굳/콘텐츠/고정 멤버|고정 멤버]]'라고 불리는 시스템이다. 고정 멤버는 초창기부터 엄청난 인기를 끌어 생방송과 유튜브 양쪽에서 모두 크게 흥행하게 되었는데, 우왁굳은 여기서 불현듯 방송에 참여하는 시청자들이 각자 컨셉을 잡고 캐릭터를 연기하면 뭘 해도 재미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 이후로 고정 멤버는 반드시 [[VRChat]] 아바타를 이용해 방송에 참여하게 되었고, 한 명의 시청자가 아니라 각자 독특한 설정과 개성을 지닌 캐릭터로 발전하게 되었다. [[https://www.twitch.tv/videos/1294439912?t=7h30m03s|#]] 그리고 이런 고정 멤버의 연장선으로, 시청자를 뽑아 VRChat에서 아이돌 컨셉으로 활동시키면 재밌겠다는 아이디어가 떠올라 2020년 말 즈음에 메모장에 '''{{{#000000,#FFFFFF "VR챗 아이돌"}}}'''이라고 적어놓은 여섯 글자의 프로젝트가 '''{{{#2931a5,#8898f6 "사이버 아이돌 프로젝트"}}}'''로 변하고 현재 '''{{{#e64371,#F361A6 "이세계 아이돌 프로젝트"}}}'''로 발전하게 된 것이다. [[https://www.twitch.tv/videos/1294439912?t=7h34m33s|#]] [[홀로라이브]]의 흥행에 영감을 받아 시작된 프로젝트라고도 많이 알려져 있지만, 맨 처음에는 2.5D 캐릭터를 이용한 버츄얼 유튜버 같은 것은 생각도 하지 않고 있었고 어디까지나 [[우왁굳/콘텐츠/고정 멤버|고정 멤버]]의 연장선에 있는 VRChat의 콘텐츠 중 하나로 시작됐다. 따라서 이세계 아이돌 멤버들은 콘텐츠의 실패나 어떠한 이유로든 콘텐츠가 종료된 이후에도 한 명의 시청자로써 시청자 참여 콘텐츠에 지속적으로 참여시킬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우왁굳의 시청자들 중에서 선발되었다. 각 멤버는 독립적으로 방송 활동을 하는 스트리머이며, 동시에 우왁굳에게 소속되어 방송 스타일도 우왁굳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이러한 이유로 이세계 아이돌의 팬들 역시 우왁굳의 방송을 통해 자연스럽게 유입된 시청자들이 많기 때문에 우왁굳의 방송에서 유행하는 밈들이 각 멤버들의 방송 중에도 자연스럽게 사용된다. 우왁굳, 고정 멤버, 이세계 아이돌과 팬치들이 함께 어우러지는 '''"[[왁타버스]]"'''라는 독특한 생태계[* 함께 활동하는 '''팀''', 계약으로 이뤄지는 '''MCN''', 서로 인연으로 맺어진 '''친분관계''', 같은 사람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뭉친 '''팬덤''', 같은 취미를 가진 사람들이 모인 '''동호회''' 이 중 단순히 무엇이라고 콕 집어 부르기 힘든 아주 특이한 구조다. 이런 고유의 이형적인 구조는 우왁굳이 오랫동안 쌓아온 팬덤인 [[침팬치]]가 일반적인 인방인 팬덤보다 특유의 유대감과 자체 창작 능력이 매우 높다는 점에서 기인한다.] 속에서 밈을 공유하며, 팬들의 가진 능력을 협력하여 높은 퀄리티의 콘텐츠를 제공하여 하나의 고유적인 문화권을 형성한다. 이 때문에 대한민국의 다른 스트리머들과는 한발짝 떨어져 있지만 우왁굳을 중심으로 뭉쳐있는 거대한 섬이나 대륙에 비유되곤 하며, 진입장벽이 높아 [[우왁굳]]의 방송 문화를 알지 못하고 이세계 아이돌의 방송을 보기 시작한 시청자들은 쉽게 적응하지 못하고 괴리감을 느끼기도 한다.[* 마치 한국에서 생활하기 위해선 [[한국어]]를 배우고 한국 문화에 익숙해져야 하는 것과 같다. 이런 구조는 진입장벽이 높아 신규 시청자 유입을 막을 수 있으며, 이런 폐쇄성 속에서는 친목질이 난무해 안 그래도 높은 진입장벽을 더욱 더 높이고, 네임드나 이를 중심으로 한 파벌이 생기거나, 이런 파벌들이 우왁굳을 무시하고 공과 사를 구분하지 못하고 자체적으로 활동하면서 선을 넘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지만, 반면 이런 구조는 왁타버스 안으로 한번 [[들어올 때는 마음대로였겠지만 나갈 때는 아니란다|들어온 사람들끼리의 유대감을 형성하고 결속력을 강화시켜]] 이로 인해 아주 굳고 두터운 [[콘크리트 지지층|팬층]]을 형성한다는 거대한 장점이 있다. 또한 팬덤을 공유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초기 시청자를 확보할 수 있어 할 수 있는 것도 많아지며, 게다가 오히려 침팬치들이 규모가 너무 크기 때문에 수많은 밈 중 일부가 우왁굳 방송에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닌 여러 방송에서 쓰이기도 해서, 널리 퍼진 밈 덕분에 우왁굳 방송을 보지 않는 시청자들도 간접적으로 우왁굳 방송 밈에 어느 정도 익숙해져 있어 앞서 말한 단점을 어느 정도 상쇄한다. 또한 '''친목질을 엄격하게 금지'''하면서 적절한 수준의 폐쇄성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왁물원]]의 내부 분위기는 서로 침팬치라는 정체성에 따른 유대감도 높으면서 생각보다 진입장벽은 일반 게임 커뮤니티나 다를 바 없는 수준으로 낮다.] 그래서 우왁굳 방송을 오랫동안 봐온 기존 팬들이 여러 스트리머의 문화에 익숙해져 괴리감을 느낄 수 있는 유입팬들을 위하여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4681670|유입 가이드]]와 유입들이 가질 만한 의문에 대한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5019454|설명]][*가입]을 제공해주고 있다. === [[버츄얼 유튜버|버츄얼 스트리머]] 그룹 === 이세계 아이돌은 멤버들의 신상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VRChat 아바타를 사용해 스트리밍을 하는 버츄얼 스트리머 그룹이기도 하다. 대한민국의 방송 환경에 맞게 일반 시청자가 거부감을 느낄 수 있는 과한 디자인이나 컨셉은 배제하는 방향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실제 방송인과 화면에 비추어지는 캐릭터를 서로 다른 존재로 분리하기 위해 노력하는 경향이 강한 일본의 버츄얼 유튜버와는 달리 이세계 아이돌의 VRChat 캐릭터는 멤버를 대신하는 [[아바타]]로 여겨진다. [[https://www.youtube.com/watch?v=N8kYfxjiNYU&t=57s|#]] 이 때문에 이세계 아이돌 멤버들의 방송은 VRChat 아바타가 화면에 비추어지고 있다는 사실만 빼면 여느 트위치 스트리머들과 방송 내용이 크게 다르지 않다. 반대로 일본의 버츄얼 유튜버를 이전부터 소비하던 시청자 중 일부는 방송인과 캐릭터가 분리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이질감을 느끼며 이세계 아이돌을 버츄얼 유튜버로 인정하지 않기도 한다.[* 일본의 버츄얼 유튜버는 캐릭터를 만들고, 이에 맞는 성우를 찾는 편이라면 이세계 아이돌은 목소리와 성격에 맞춰 캐릭터가 설계됐다는 차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세계 아이돌 콘텐츠가 처음 공개되었을 때는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시청자도 적지 않았는데, 당시 [[홀로라이브]]와 [[니지산지]]를 비롯한 버츄얼 유튜버들이 큰 성공을 거두고 그 인기가 대한민국으로도 전해지면서 버츄얼 유튜버 장르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었지만, 여전히 버츄얼 유튜버에 관심이 없거나 반감을 느끼는 시청자가 많았기 때문이다. 또한 이전에 대한민국 시장에 도전했던 여러 버츄얼 유튜버 그룹들이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니지산지 KR]]의 경우 실적 부족으로 인해 2022년에 일본 본토 니지산지로 흡수/재편되었으며 [[홀로라이브 KR]] 역시 사실상 무산되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던 버츄얼 유튜버 시청자들도 우왁굳의 도전은 응원해도 성공 가능성은 낮게 예상했다. 기획자인 우왁굳 본인마저 반농담으로 "성공 확률은 0.2%다."라고 표현했고, 오디션 이후로도 많은 사람들의 노력이 헛수고가 되는 것은 아닌지 오랫동안 걱정을 떨치지 못했다. ([[https://www.twitch.tv/videos/1421107938?t=4h26m11s|#]], [[https://youtu.be/wUaXsmfDvLg|#]]) 그러나 많은 사람들의 예상을 뒤엎고 다양한 콘텐츠들을 성공적으로 진행하면서 모든 멤버들이 고르게 성장했고, 콘텐츠 공표 후 채 일 년도 지나지 않은 2022년 3월 8일[* 콘텐츠 공표 이후 딱 260일 되는 날이었다.]을 기점으로 이세돌 멤버 전원이 트위치 팔로워 수 10만 명을 넘기고, [[주르르]]를 마지막으로 3월 19일 오후 10시 31분, 전원이 유튜브 구독자 수 10만 명을 돌파하며 이세돌은 지금까지 우왁굳이 진행했던 콘텐츠 중에서도 손에 꼽힐 정도의 대성공을 거두었다.[* 인지도가 수입으로 이어지는 인터넷 방송 특성상 10만이라는 숫자가 낮아보일 수 있지만, 스트리머가 10만 구독자를 달성하는 것은 성공 여부의 기준선으로 꼽을 만큼 대단한 일이다. 그것도 서브컬처가 약한 한국에서 버츄얼 스트리머로 성공한 것으로 말이다. 우왁굳이 이전에 진행했던 콘텐츠 크리에이터 육성 콘텐츠인 [[왁카데미]]를 생각해보면 일반인들에게 대중적으로 어필할 수 있는 콘텐츠였음에도 서브컬처에 가까운 콘텐츠인 이세계 아이돌 프로젝트만큼 사람들의 이목을 끌어내지 못하였다. 그러나 왁카데미의 도전은 [[왁타버스|왁타버스 시스템]]의 성공의 초석이 되었다.] 우왁굳은 기존의 흔히 알려진 버츄얼 유튜버인 [[홀로라이브]]나 [[니지산지]], [[키즈나 아이]]들을 보며 경쟁사라고 말하는 시청자들을 향해 이세계 아이돌과 다른 버츄얼 유튜버는 전혀 다르다고 설명했다. [[홀로라이브]] 등의 버츄얼 유튜버들은 허구의 캐릭터를 연기해서 그 캐릭터가 마치 살아있다는 느낌을 주는 게 핵심이고 그러기 위해서 캐릭터의 컨셉과 세계관을 만드는 작가, 짜여진 캐릭터를 연기하며 방송하는 성우, 경우에 따라서 행동을 연기하는 모션 캡쳐 배우 등등 전문 인력이 달라붙어서 버츄얼 유튜버 한 명을 운영하는 구조라고 한다. 반면에 이세계 아이돌은 그런 컨셉이나 세계관 같은 게 전혀 없고 그런 전문 인력이 없고, 꾸밈이나 가식 없이 있는 그대로를 보여준다고 한다. 이 둘의 수요층 구성에서도 차이가 있다고 말한다. [[홀로라이브]]와 같은 기존 버츄얼 유튜버들의 수요층은 주로 [[씹덕|마이너한 장르를 즐기는 사람]]들이 주를 이루지만, 이세계 아이돌은 마이너한 문화에 크게 관심갖지 않는 평범한 일반인들부터 마이너한 장르를 즐기는 사람들까지 다양하다고 말한다. === 버츄얼 [[걸그룹]] === ||<table align=center><tablewidth=700><tablebordercolor=#64449f>{{{#!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_AuaoOgdF44)]}}}|| ||<bgcolor=#64449f><color=#ffffff> '''아이돌에 대한 고찰 | 클립라이트''' || 위 영상은 과거 우왁굳이 이세계 아이돌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이전, 현실의 아이돌과 팬덤 간의 상호 괴리에 대해 노가리를 깠던 영상이다. 여기서 우왁굳은 현실 아이돌과 팬들의 소통 부재의 원인은 사람의 성품이 아닌 구조적인 문제라고 규정했고, 차라리 스트리머처럼 쌍방향으로 소통해야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런 관점으로 출발했기에, 이세계 아이돌이 이 문제를 해결했을 뿐만 아니라 기존 가상 아바타의 문턱을 줄여 그 결과 대중에게 좀 더 거부감 없는 모습으로 다가설 수 있었다. 비록 처음부터 설계된 것은 아니었지만, 이세계 아이돌의 음악 활동은 기대를 뛰어넘는 성공을 거둬 각종 음원차트에 이름을 올리고 있고, 여러 매체도 소위 [[메타버스]] 시대를 대표하는 걸그룹으로 이세계 아이돌을 소개하고 있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260Z6UO3R0|#]], [[https://www.mk.co.kr/news/it/view/2022/03/248235/|#]]) 이는 우왁굳이 지난 10여년간 일구어 놓은 [[침팬치|팬덤]]이 성공적으로 이세계 아이돌 멤버들에게 전해졌으며 음원이 발매될 때마다 이들의 열렬한 응원과 엄청난 화력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다. 특히 이세계 아이돌은 현실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가상의 캐릭터로만 그룹을 만들어 대한민국 음원 시장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었다는 것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세계 아이돌 이전에도 [[SM엔터테인먼트]]의 [[aespa]]가 최초로 메타버스 콘셉트를 앞세워 활동을 시작한 예시가 있긴 하지만, aespa는 현실 멤버들과 가상 멤버들이 함께 소속되어 있기도 하고, [[Savage]]를 발매하기 전까지 aespa의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활동도 사실상 없었다. 현실 멤버들이 큰 인기를 끌자 그 인기를 밑바탕으로 삼아 한발짝 늦게 세계관 확장에 나선 것이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92913567279006|#]] 전 세계적으로는 [[K/DA]], [[V.W.P]] 등의 예시도 있고, 현재 대한민국에는 여러 [[버츄얼 유튜버/목록/한국/버츄얼 그룹|버츄얼 그룹]]들도 있지만 그중 이세계 아이돌이 독보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나아가 2022년 5월 14일 [[우왁굳]]의 방송에서 이세계 아이돌 멤버들과 [[https://youtu.be/C2wJ2d6d5T4|정식 계약]] 절차를 밟았다는 발표를 하였다. 내외부적으로 변한 점은 없으며, 여러 회사들이 이세계 아이돌에게 오는 제의와 컨택들은 대표인 우왁굳이 받아 직접 결정을 하게 되어 최소한의 안전 장치가 마련된 것뿐이라고 하였다. === 현실 인기 === * [[세바시]]에서 [[http://naver.me/5Q4sHFmv|게이미피케이션]], [[메타버스]] 분야 전문가인 김상균 교수의 강연에서 메타버스의 모범 사례로 소개되었다. [[https://youtu.be/371Vb-wOZr4?t=173|#]] 해당 영상에 [[주르르]]와 [[고세구]]가 댓글을 남겼고, 김상균 교수도 주르르의 채널에 업로드된 동영상에 댓글을 남겼다. [[https://youtu.be/KI06xHogZZw|#]] 자료영상에 [[주르르]]가 유독 집중적으로 보여져서 교수가 주폭도가 아니냐는 농담이 나왔는데, 김상균 교수가 자료는 세바시 팀에서 준비한 것이라고 밝혔다. 김상균 교수는 이세돌 방송에서 '상균쿤'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곤 한다. * 2021년 12월 30일 오전 4시 8분 연합뉴스 TV에 메타버스의 예시로 보도되었다. [[https://youtu.be/zL4m6VSqMLU|#]] * [[Wanna One]] 출신의 가수 겸 배우 [[옹성우]]가 2022년 1월 11일 인스타 라이브에서 [[https://youtu.be/JhOeFvKoY_A?t=2583|이세계 아이돌을 언급했다.]] * [[네이버 웹툰]] [[현실퀘스트]]에서 이세돌 멤버 전원이 카메오 출연했다. [[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titleId=783888&no=11|#]][* 우왁굳을 포함한 매니저인 뢴트게늄, 다른 고정 멤버들 또한 웹툰에 다수 출연하기도 했다.] * [[트와이스]]의 멤버 [[정연]]이 2022년 1월 17일 아티스트 메신저 서비스인 [[버블]]에서 팬들과 소통하던 도중 이세계 아이돌을 언급했다.[[https://twitter.com/OT9TRANS/status/1482954247905947648?t=nUwnwnzr7Fvsq8zENR5O4A&s=19|해당 글]]은 해외의 트와이스 팬이 정리한 언급 관련 내용. * 2022년 1월 20일 오후 7시 [[Arirang TV|아리랑 TV]]의 NEWS CENTER에 이세돌 관련 내용이 방영되었다.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4388024|#]] * 모 TV 프로그램[* 이름만 들으면 누구나 알 만한 프로그램의 서브 코너라고 한다.]에서 이세계 아이돌의 출연이 가능하냐는 제의가 왔지만 그래픽, 기술 등 여러 요인에서 해결되지 않은 문제가 있어서 거절했다고 한다. * 2021년 12월 24일 [[MBC]] FM4U 아이돌스테이션에서 [[RE : WIND]]가 선곡되었다. [[https://miniweb.imbc.com/Music/View?seqID=412&progCode=STFM000001867|#]] * 2022년 3월 21일 [[여수MBC]] FM4U 박성언의 음악식당에서 [[RE : WIND]]가 선곡되었다. [[https://ysmbc.co.kr/programme/PcmajfoZ-w-c/p/TrzK7Ncfg5NW/single/adHWrjBmQv|#]] * 2022년 3월 22일 [[설레는 밤|설레는 밤, 박소현입니다]]에서 [[겨울봄]]이 선곡되었다. [[https://youtu.be/6LG9um7JCQ0?t=3255|#]] * 2022년 3월 30일 [[김영철의 파워FM]]에서 [[RE : WIND]]가 선곡되었다. [[https://youtu.be/LLFeNrKayz0?t=6077|#]] 이후 [[왁물원]]에 영상 담당자가 직접 팬치임을 인증하기도 하였다.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5395981|#]] * 2022년 4월 6일부터 만화 채널인 [[챔프TV]]에서 1~2달간 이세돌 MV가 나온다.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5495319|#]] * 2022년 5월 17일 [[중앙일보]]에서 이세계 아이돌 데뷔 이후 첫 공식 [[https://youtu.be/rD3FhRbe5tU|인터뷰]]를 가졌다. [[우왁굳]]이 함께한 이 인터뷰는 실제 중앙일보 기자의 [[VRChat]] 가상 환경 취재를 통해 이루어졌다. [[https://youtu.be/IpL9R_FtXqw|풀영상]],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71782|중앙일보 기사]] == 멤버 == ||<-6><tablewidth=70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e7416f><table bg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4371, #F361A6);" [[파일:이세계 아이돌 로고.png|width=80]]}}} || ||<width=16.66%> {{{#!wiki style="margin: -5px -10px" [[아이네|[[파일:아이네트위치프로필.png|width=100%]]]]}}} ||<width=16.66%> {{{#!wiki style="margin: -5px -10px" [[징버거|[[파일:징버거트위치프로필.png|width=100%]]]]}}} ||<width=16.66%> {{{#!wiki style="margin: -5px -10px" [[릴파|[[파일:릴파트위치프로필.jpg|width=100%]]]]}}} ||<width=16.66%> {{{#!wiki style="margin: -5px -10px" [[주르르|[[파일:주르르트위치프로픨.png|width=100%]]]]}}} ||<width=16.66%> {{{#!wiki style="margin: -5px -10px" [[고세구|[[파일:고세구_프로필_고화질.png|width=100%]]]]}}} ||<width=16.66%> {{{#!wiki style="margin: -5px -10px" [[비챤|[[파일:비챤트위치프로픨.png|width=100%]]]]}}} || || [[아이네|{{{#8a2be2 '''아이네'''}}}]] || [[징버거|{{{#f0a957 '''징버거'''}}}]] || [[릴파|{{{#000080 '''릴파'''}}}]] || [[주르르|{{{#800080 '''주르르'''}}}]] || [[고세구|{{{#467ec6 '''고세구'''}}}]] || [[비챤|{{{#85ac20 '''비챤'''}}}]] || ||<^|1>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000 1994.[* 비공개 ] [br]([age(1994-01-01)]세)}}}}}} ---- [[대한민국|[[파일:태극기.svg|width=25]]]] ---- [[https://www.youtube.com/channel/UCroM00J2ahCN6k-0-oAiDxg|[[파일:유튜브아이콘.svg|width=20]]]] {{{#000000 |}}} [[https://www.twitch.tv/vo_ine|[[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1>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000 1995. 10. 08. ([age(1995-10-08)]세)}}}}}} ---- [[대한민국|[[파일:태극기.svg|width=25]]]] ---- [[https://www.youtube.com/channel/UCHE7GBQVtdh-c1m3tjFdevQ|[[파일:유튜브아이콘.svg|width=20]]]] {{{#000000 |}}} [[https://www.twitch.tv/jingburger|[[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1>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000 1996. 03. 09. ([age(1996-03-09)]세)}}}}}} ---- [[대한민국|[[파일:태극기.svg|width=25]]]] ---- [[https://www.youtube.com/channel/UC-oCJP9t47v7-DmsnmXV38Q|[[파일:유튜브아이콘.svg|width=20]]]] {{{#000000 |}}} [[https://www.twitch.tv/lilpaaaaaa|[[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1>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000 1997. 06. 10. ([age(1997-06-10)]세)}}}}}} ---- [[대한민국|[[파일:태극기.svg|width=25]]]] ---- [[https://www.youtube.com/channel/UCTifMx1ONpElK5x6B4ng8eg|[[파일:유튜브아이콘.svg|width=20]]]] {{{#000000 |}}} [[https://www.twitch.tv/cotton__123|[[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1>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000 1998.[* 비공개 ] [br]([age(1998-01-01)]세)}}}}}} ---- [[대한민국|[[파일:태극기.svg|width=25]]]] ---- [[https://www.youtube.com/channel/UCV9WL7sW6_KjanYkUUaIDfQ|[[파일:유튜브아이콘.svg|width=20]]]] {{{#000000 |}}} [[https://www.twitch.tv/gosegugosegu|[[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1>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000 2000. 01. 16. ([age(2000-01-16)]세)}}}}}} ---- [[대한민국|[[파일:태극기.svg|width=25]]]] ---- [[https://www.youtube.com/channel/UCs6EwgxKLY9GG4QNUrP5hoQ|[[파일:유튜브아이콘.svg|width=20]]]] {{{#000000 |}}} [[https://www.twitch.tv/viichan6|[[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 팀명처럼 [[아이돌]] 그룹을 표방하고 있으나, '''보컬 그룹으로서도 딱히 약점이 없는 팀'''이다. 프로듀서이자 사장인 우왁굳이 고심하며 멤버를 뽑은 태가 난다. 팀으로서 음색의 밸런스가 좋을 뿐 아니라, 개개인의 음감과 곡 해석력 또한 훌륭하다. 팀으로서 발표한 곡 말고도 멤버들이 각각 여러 곡을 커버했는데, 여섯 멤버의 커버 모두 하나같이 준수하다. 매우 뛰어난 메인보컬 라인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가창력이 부족하다는 평을 받던 고세구도 솔로 커버 곡 [[https://youtu.be/DPEtmqvaKqY|팬서비스]]에서 자신만의 장점을 잘 보여준다.[* 믹싱의 힘도 없지 않겠지만 발음, 음감, 보컬의 캐릭터성 면에서 딱히 흠잡을 데가 없다. 라이브 공연에서도 음원과 별 다를 바 없는 훌륭한 가창력을 보여 줬다.] 여섯 멤버는 각각 '''메인보컬''' 라인[* [[아이네]], [[릴파]]], '''리드보컬''' 라인[* [[비챤]]], '''서브보컬''' 라인[* [[징버거]], [[주르르]], [[고세구]]]으로 대략 나눠볼 수 있다.[* 실제로 직접 공인된 바는 없지만 팬들 사이에서 메인보컬, 리드보컬, 서브보컬로 나누어 취급되는 일이 많은 편이다.] 아이네는 힘을 넣고 빼는 것이 자연스러워 곡에 따라 목소리 톤을 바꾸는 게 가능한 데다가, 풍성한 성량에 넓은 음역대까지 갖춰 장르를 타지 않는 보컬리스트다. 릴파는 대중적인 음색과 단단한 발성을 지니고 있으며 폭발적인 고음을 안정적으로 소화하는, 아이돌 그룹의 메인보컬의 정석을 보여 준다. 비챤은 음색부터 섬세하게 음을 집으며 끝음 처리까지 듣자마자 구별될 만큼 개성이 강하고, 음감이 좋아 팀의 활동곡이나 커버 곡 등의 전반적인 화음과 가이드 보컬[* 정식 데뷔곡 [[RE : WIND]]에선 서브보컬 포지션인 고세구가 곡 후반부의 가이드 보컬을 담당했다. [[https://youtu.be/6MvP22q2ilw|#]] 앞선 각주에도 고세구의 곡을 예시로 들었지만, 서브보컬이라고 '아이돌 가수'로서 절대 부족한 실력이 아니라는 것. 또한 [[겨울봄]]에서는 비챤과 아이네가 함께 가이드 보컬로 나섰다.]을 가장 많이 담당하는 리드보컬 라인이다. 징버거, 주르르, 고세구는 그룹의 태생적 기반인 일본식 아이돌 스타일의 깨끗한 음색 자체를 부각시키는 방향의 보컬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이 세 사람 모두 목소리가 좋다고 평가받으며, 음감이 준수하고 자연스러운 가성의 활용 등 각자 개성을 드러내면서 자기 파트를 소화할 실력이 충분히 갖추어진 서브보컬 라인이다. 메인보컬, 리드보컬 라인의 아이네, 릴파, 비챤은 개성이 강하면서도 전반적으로 허스키한 톤이라 곡의 초반부, 후렴구, 절정 파트 등 중요한 부분의 연결부나 핀포인트가 될 만한 부분을 착실하게 쌓아가며, 서브보컬 라인의 징버거, 주르르, 고세구는 그룹 특유의 맑고 고운 톤의 음색을 가져 곡의 톤을 높이고 전반적으로 통일성을 주는 역할을 하기에 보컬그룹으로써 밸런스가 좋으며 [[걸그룹]]처럼 각자의 개성이 잘 융화되는 그룹이다. 래퍼 포지션에서 첫손에 꼽히는 멤버는 고세구다. 아직 그룹의 정식 발매곡에 랩이 실린 적은 없으나, 고세구가 메인래퍼라는 일종의 밈이 있다.[* 메인보컬을 노린다는 드립을 치다가 갑자기 메인래퍼를 노린다고 변경하며 생긴 밈.] 이후에 But You One More에서 고세구의 짧은 랩이 나왔고, 후기에서 작곡가가 일부러 고세구한테는 랩을 시키고 싶었다는 드립까지(...). --진심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다 [[2022년]] [[4월 22일]] 예고 없이 공개한 '''[[https://youtu.be/Empfi8q0aas|이세돌 싸이퍼]]에서 멤버들 전원이 랩을 선보였는데''', 해당 곡의 작사와 믹싱을 맡은 [[빕어]]는 고세구가 메인래퍼의 포지션에 적합하다고 보았다.[* 인트로에 마지막 벌스, 아웃트로를 가져가는 등 곡에서 고세구의 지분이 가장 높은데, 빕어가 작성한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5735408|후기]]에 따르면 후렴 파트까지 맡을 예정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비중이 너무 커져 멤버 모두가 조명되어야 할 단체곡에서 혼자 눈에 띄어 자칫 주인공처럼 보일 우려가 있어 밸런스를 맞추기 위하여 [[뢴트게늄(인터넷 방송인)|뢴트게늄]]을 긴급 섭외했다고 한다.] 메인댄서는 데뷔곡의 퍼포먼스를 담당한 릴파다. [[RE : WIND]] 뮤직비디오 제작 과정에서 댄스 파트의 안무를 직접 추어 [[모션 캡처]]했을 뿐 아니라 비어있는 구간의 동작을 즉석에서 제안했으며, 공연장 씬에서 멤버들이 다 같이 직접 춘 손동작 안무도 릴파가 만들었다. == 선발 이전 == === 선발 과정 === 2021년 6월 22일 [[왁물원]]에 "사이버 아이돌 육성 프로젝트"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3377190|공지]]를 올려 지원자를 모집했다. 200명에 육박하는 지원자들이 신청서를 작성하였으며, 경력자도 다수 참여해 시작부터 큰 관심을 모았다. 댄스 코치로 VR챗 댄스 배틀 콘텐츠에 나왔던 시청자들이 채용되었고, 작곡가로 [[IZ*ONE]] 편곡가 외 방송에서 꾸준히 음악을 올리던 경력있는 시청자들이 채용되었다. 매니저로는 이전부터 우왁굳의 콘텐츠에 꾸준히 참여했던 [[뢴트게늄(인터넷 방송인)|뢴트게늄]]이 채용되었다. 이세계 아이돌 오디션의 선발 과정은 일반적인 공중파 오디션의 포맷을 일부 차용하여 진행된 1차 오디션부터 최종 합격까지 50여일에 걸쳐 진행되었다. 사전 녹화 후 편집되어 방영되는 보통의 오디션 프로그램들과 달리 인터넷 방송의 특성을 살려 모든 과정이 생방송으로 진행되었으며 시청자와 방송 출연진 간의 쌍방향 소통이 이루어졌다. 뿐만 아니라 인기 멤버 투표 정도로 제한되는 일반적인 오디션 프로그램의 시청자 참여 요소가 오디션 중 실시간 채팅과 도네이션 등을 이용하여 적극적인 상호 작용이 가능했다.[* 모든 NG씬과 돌발 상황이 무편집으로 방영되는 생방송의 특성상 편집 영상에 담기지 않은 명장면들이 넘쳐났으나 현재는 모두 삭제된 상태이며 최종 합격자에 한해 무삭제판이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되어 있다.] 우왁굳은 표면상으로는 이세계 '아이돌'을 뽑는 프로그램이지만 실질적으로 음반 발매를 겸한 버츄얼 유튜버를 육성하는 프로그램이라고 방송에서 재차 밝힌 바 있다. 이에 1차 오디션에서는 가창력을 중점으로 캐릭터성을 평가하여 총 39명을 선발하였다.[* 해당 오디션은 VR챗 이세돌 오디션 맵에서 우왁굳을 포함한 심사위원 3인 앞에서 참가자가 자기 소개와 준비해온 노래를 하는 식으로 진행되었는데 저작권상의 이유로 MR을 사용할 수 없어 모든 반주는 싱크룸을 활용한 시청자 참여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후 VR챗을 활용해 생방송에서 합격자 개인 면접을 진행하여 전업 스트리머 및 유튜버 활동 의향 등을 물었으나 면접만으로는 참가자들을 가릴 수 없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이에 우왁굳은 계획을 수정하여 2차 오디션으로 '방송하기'라는 오디션을 공지했다.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3460472|#]] 참가자 중에는 방송 경험이 있는 사람도 있었으나 전무한 사람도 있었고 아예 방송 세팅을 할 환경조차 마련되지 않은 사람도 있었다. 하지만 방송에서 모두 드러나는 상황인 만큼 감안하여 평가가 진행되었다. 여기에 아직 데뷔조차 하지 않았음에도 참가자가 트위치에서 방송을 하였기에 참가자와 시청자 간 방송과 카페를 통한 직접적인 소통과 응원이 가능했고 많은 응원 글과 팬 아트, 팬 영상 등이 공유되었다. 이후 참가자들의 개인 방송을 중심으로 우왁굳과의 합방, [[https://www.twitch.tv/woowakgood/v/1297750145?sr=a&t=24496s|우왁굳의 참가자 방송 채팅 참여]] 및 공지, 중간 합격자들의 개인 상담, 개인 유튜브 콘텐츠 제작하기 등을 거쳐 우왁굳은 자신의 방송 경험을 활용해 이세계 아이돌 활동의 적합성을 중점으로 평가하였고 마침내 최종 합격자 6인을 발표하게 된다. === 선발 일정 === ||<bgcolor=#e7416f><tablebordercolor=#e7416f> {{{#fff 목차}}} ||<bgcolor=#e7416f> {{{#fff 일정}}} ||<bgcolor=#e7416f> {{{#fff 평가항목}}} ||<bgcolor=#e7416f> {{{#fff 합격}}} ||<bgcolor=#e7416f> {{{#fff 불합격}}} ||<bgcolor=#e7416f> {{{#fff 비고}}} || || 1차 오디션 || 2021.7.10(토)~11(일) || '''노래''' || 39명 || 106명 ||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3442649|1차 합격자 발표(7.18)]][* 심사위원으로 버츄얼 유튜버들과 접점이 많은 [[대월향]]이 도와주었다.] || || 2차 오디션 || 2021.7.24(일)~31(토) || '''개인방송(1주차)''', 면접 || 21명 || 18명 ||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3477476|2차 합격자 발표(7.31)]] || || 3차 오디션 || 2021.7.31(토)~8.07(토) || '''합방''', 개인방송(2주차) || 11명 || 10명 ||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3500131|3차 합격자 발표(8.07)]] || || 4차 오디션 || 2021.8.15(토)~26(일) || '''유튜브''', PR영상 || '''[[아이네]]'''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3385598|#]] '''[[비챤]]'''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3397696|#]] '''[[릴파]]'''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3403499|#]] '''[[징버거]]'''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3413891|#]] '''[[고세구]]'''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3418202|#]] '''[[주르르]]'''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3539100|#]][* 왁물원 계정을 새로 만들면서 전에 작성했던 글들이 유실되어 나중에 다시 올린 자기소개 영상만 남아있다.] || 5명 ||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3562101|최종 합격자 발표]] || * 2차 합격자에서 떨어진 1차 합격자들 후기(포도당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3477647|#]]) * 3차 합격자에서 떨어진 2차 합격자들 후기(투미츠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3500749|#]], 아리곤쥬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3500668|#]], 먀복치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3500251|#]]) * 최종 합격자에서 떨어진 3차 합격자들 후기(현설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3562985|#]], [[밍턴]]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3562902|#]], [[큐우티]]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3563875|#]]) === 방영 목록 === * 우왁굳 채널에 공개된 이세돌 프로젝트 영상 방영 목록은 아래와 같다. * 최종 멤버 선정 전 * [[https://www.youtube.com/watch?v=vDU4L3Tvo8Q|이세돌 모집공고]] * [[https://www.youtube.com/watch?v=TzaER5VdZhs|0화 - 프롤로그]] * [[https://www.youtube.com/watch?v=NRIrKdOeZzU|1화 - 1차 오디션 시작]] * [[https://youtu.be/gnZ2ZDWvQxE|2화 - 1차 오디션 두번째]] * [[https://youtu.be/LbvGvNINnKY|3화 - 합격자와 상담]] * [[https://youtu.be/J6cGHywFoO0|4화 - 기획사 사옥 공개 및 데뷔곡 살짝 공개]] * [[https://youtu.be/TOAyncTgKEs|이세돌의 최종 멤버를 골라주세요]] * 최종 멤버 선정 후 * [[https://www.youtube.com/watch?v=bzNZ4TBOLHI|이세계 아이돌 최종 멤버 합격 반응 #Shorts]] * [[https://www.youtube.com/watch?v=lXIKKvi6g5s|주르르 이세돌 무삭제판 (1~3차오디션)]] * [[https://www.youtube.com/watch?v=wh8farvgV3E|징버거 이세돌 무삭제판 (1~3차오디션)]] * [[https://www.youtube.com/watch?v=s5mPnhkEEvo|비챤 이세돌 무삭제판 (1~3차오디션)]] * [[https://www.youtube.com/watch?v=k8NI_96iD5o|아이네 이세돌 무삭제판 (1~3차오디션)]] * [[https://www.youtube.com/watch?v=JKhXM59SsqU|릴파 이세돌 무삭제판 (1~3차오디션)]] * [[https://www.youtube.com/watch?v=Ub9WdUGPlik|고세구 이세돌 무삭제판 (1~3차오디션)]] * 기타 이세돌 영상들은 [[https://youtube.com/c/welshcorgimessi|왁타버스 WAKTAVERSE]]에서 볼 수 있다. ==# 그룹명 선정 #== 데뷔 전 그룹명 선정은 우왁굳의 개인 방송에서 시청자들과의 의견 교환을 통해 이루어졌다. 그리하여 주목을 받았던 몇 가지의 이름은 다음과 같다. ||<table align=center><-4><tablebordercolor=#e7416f><colcolor=#FFF><colbgcolor=#e7416f> '''{{{+3 {{{+1 이세}}}{{{#!html <span style="text-shadow: 1px 0px #fff, 0px 1px #fff, -1px 0px #fff, 0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color:#e7416f">계 아이}}}{{{+1 돌}}}}}}[br]그룹명 지지도 ^^(2021년 9월 16일 기준)^^''' || ||<-1><width=25%> '''예상 그룹명 후보''' ||<width=25%><colbgcolor=#fff,#191919> '''감람소녀''' ||<width=25%><colbgcolor=#fff,#191919> '''버츄원''' ||<colbgcolor=#fff,#191919><width=25%> '''버츄''' || || '''유튜브 커뮤니티 투표'''[br]'''(20만 명)''' ||<width=15%> 10% ||<width=15%> '''{{{+2 52%}}}''' ||<width=15%> {{{-2 후보에 없다.}}} || || '''왁물원 항시 공모[br]좋아요 수''' || 122 || '''{{{+2 167}}}''' || 133 || * '''감람소녀''': __감람__은 페리도트의 우리말인 [[감람석]]에서 유래한 말로 우왁굳의 차 색이 '페리도트 그린'이라는 점에서 착안한 단어이다. 생방송에서는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으나 유튜브 시청자들에게는 너무 내수용이고 어감도 좋지 않다며 거부감이 컸다.[* 릴파의 경우 중국 모바일 게임 이름 같다며 싫어했다.] 이후 생방송 중에 지나가는 식으로 감람소녀는 채택되지 않을 거라고 밝혔다. * '''버츄원''': __버츄__(얼)와 __원__을 합친 말로, 이세돌이 버츄얼 아이돌이라는 점을 드러내면서도, But you want(하지만 너도 원하고 있잖아)라는 해석도 가능하다.[* 해당 그룹의 멤버인 [[고세구]]가 내놓은 해석이다.] 감람소녀를 지지하지 않는 생방송 시청자들이 지지했으며 유튜브 시청자들의 지지가 굉장히 크다. 그러나 그룹 [[워너원]]과 이름이 흡사하고 이름의 신선함과 참신성이 떨어진다는 말도 많았다. * '''웨이키''': 우왁굳의 __WAK__(왁)과 __Key__(열쇠)를 합친 말이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카페나 유튜브에서 지지 여론이 적은 편이었다. * '''버츄''': __VIRTU__. 이전에 묻혔다가 우왁굳의 재조명으로 강력한 후보로 올랐다.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3638048|#]] 그러나 이것 또한 [[야추]], [[Ah-Choo]] 등 몇몇 명칭들과 흡사하다는 말이 나왔으며 결정적으로 이미 '''[[버스터즈(아이돌)|현실 걸그룹]]'''에서 '''[[버츄|팬덤명]]으로 사용하고 있어'''[* 다만 여기선 'Buchu'로 표기한다.] 사실상 묻힐 것으로 추정됐다. 이와 같이 논의되었던 그룹명들이 저마다의 문제가 있었던 까닭에 결국 이번 프로젝트 이름이었던 '''이세계 아이돌'''이 그룹명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확정되었다. == [[/활동|활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세계 아이돌/활동)] == 음악 == === [[/음반 목록|음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세계 아이돌/음반 목록)] === [[/노래 목록|노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세계 아이돌/노래 목록)] == 여담 == === 데뷔 이전 === ## https://namu.wiki/thread/DistinctDizzyAspiringFang 합의사항: 3차 합격자 긴급 하차 사건 관련 내용을 여담 문단에 서술하고 부정확한 추측성 의혹 등은 기재하지 않기 (아래 기술된 사항은 의혹(어떤 대상에 대한 의심)이 아닌 증거를 지닌 합리적 추론.) * 오디션 도중 3차 합격자 한 명이 긴급 하차하는 사건이 있었다. 공식적인 사유는 밝혀지지 않았으며 우왁굳도 차후의 언급을 일절 금지하였다. * 팬 카페에 이세돌 합격 비하인드 썰이 정리된 글이 올라왔다.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3638247|#]] * 원래 우왁굳의 개인 콘텐츠 중 하나로 기획된 것이지만 데뷔 음반이 나오기도 전부터 예상을 뛰어넘은 인기와 관심을 받는 바람에 사람들의 기대치가 너무 높아지는 것을 우왁굳이 우려하기도 했다. [[https://youtu.be/fymHOZ7MEQA|#]] === 데뷔 이후 === ## https://namu.wiki/thread/WantingGlossyShiveringApproval 합의사항: 안 좋은 인식 관련 기존 서술에서 팬덤 전체가 아닌 일부 팬덤의 행보라는 것을 반드시 명시하기 * 뮤직비디오의 공식 티저 영상은 우왁굳 본인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되며 공식 영상은 왁타버스 유튜브 채널에 올라간다. * 일부 커버 곡들의 자막이 유튜브 영상과 어울려지듯 제작되어지고 있다.[* 왁물원 내에 우왁굳 채널부터 각 멤버들의 유튜브 채널까지 제작하는 팀 감람스톤이라는 자막 제작팀이 있다.] 처음에는 평범한 자막에서 점점 영상과 자연스럽게 어울려지도록 페이드 인 아웃, 자막의 위치, 색상까지 섬세한 자막을 제작하고 있다. * 이세계 아이돌과 [[우왁굳/콘텐츠/고정 멤버|왁타버스 고정 멤버]]들은 노래 작업을 도와주거나 함께 동영상을 제작하는 등 다양한 콘텐츠를 만들어내면서 도움을 주고받고 있으며, 서로가 서로의 팬이 되어 활동을 응원하는 동료이다. 이세계 아이돌은 각자 방송을 하는 스트리머인 반면 고정 멤버는 우왁굳의 방송에 참여하는 시청자라는 입장 차이가 있긴 하지만, 모두 우왁굳의 열렬한 팬이라는 공통점으로 뭉쳐있기 때문에 왁타버스라는 한 울타리 안에서 친밀한 관계를 이어나가고 있다. 또한 서로를 질투하거나 견제하는 듯한 모습을 연출해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는데, 도파민 박사는 [[장난기 기능]]을 패러디한 [[https://youtu.be/l4LWtJRYmN8|고장난 기능]]에서 대놓고 이세돌 악플이 취미라고 하고[* 반면 도파민 박사의 대척점에 서 있는 고정 멤버인 풍신은 역으로 이세돌에 빠지고 덕질하고 찬양하는 성덕이다. 특히 [[아이네]]를 최애로 밀고 있다. 그런데 정작 아이네는 풍신, 비소의 마법즈가 아닌 도파민과 새우튀김을 필두로 한 과학팸 소속 취급이다. 설날 인사 영상부터가 도파민 은퇴 후 아이네가 도파민 연구소를 물려받았다는 설정이다.] [[히키킹]]은 이세돌을 베어버리겠다는 무력 의사를 드러내거나 자신의 TS 버전인 히키퀸을 제7의 이세돌 멤버이자 왁타버스 최고의 미소녀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 인기에 힘입어 [[왁물원]]에서도 이세계 아이돌의 팬아트와 웹툰 등 다양한 창작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백합(장르)|백합]]은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다만 트위터 등지에는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다.]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4123197|#]] 그리고 어찌 보면 당연하지만 너무 높은 수위의 창작물도 금지하고 있다.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4685397|#]] 또한 매니저 뢴트게늄과 주르르를 엮는 소위 뢴르르를 위시로 한 여러 우결 관련 창작물도 성행했지만, 주르르와 뢴트게늄이 뇌절스러운 창작물들로부터 스트레스를 받음으로 인해 우왁굳의 한 마디로 이 역시 금지되었다. [[https://www.twitch.tv/videos/1409672898?t=0h12m49s|#]] * 모든 멤버들이 평균적으로 높은 시청자 수를 보여주고 있지만 [[우왁굳]]과 이세돌 멤버들, 매니저 [[뢴트게늄(인터넷 방송인)|뢴트게늄]]을 제외한 다른 스트리머들과는 시청자층이 거의 겹치지 않는다. [[https://stats.roki.sh/atlas|#]] 사실 우왁굳은 예전부터 거의 [[우왁굳TV]] 및 [[겜스터]]하고만 합방을 진행했고, 겜스터가 해체되고 우왁굳TV가 사실상 운영되지 않는 최근에는 왁타버스 고멤/이세돌과만 합방을 진행하기 때문에 우왁굳의 시청자층부터가 타 스트리머들과 잘 겹치지 않는다. 이세돌의 팬덤은 대부분 우왁굳의 팬덤에서 파생된 팬덤이기 때문에 어찌 보면 당연한 일.[* 타 스트리머를 통해 유입되는 일이 없다고 할 수는 없지만, 현재로선 이세돌의 주된 유입 경로는 유튜브를 통해서 보던 팬들이 트위치 생방송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우왁굳의 1년 전 평균 시청자 수와 비교했을 때 시청자층은 타 스트리머와 겹치지 않는데, 사람은 계속 늘어나는 게 이 때문이다.] * 2022년 2월 22일 첫 외부활동으로 [[릴파]], [[주르르]], [[비챤]] 세 멤버가 [[이터널 리턴]] 대회[* 2022 ER 인비테이셔널.]에 참가하게 되었는데 이날 꼴찌를 하고 상금으로 '''3만원'''[* 제일 많은 상금을 받은 팀이 317만원을 받았다.]을 받았다. 이후 다음 대회에도 참여가 확정되었다. [[https://playeternalreturn.com/posts/news/515|#]] 다음 대회에서는 4등으로 24만원을 받았다.[* 1, 2등이 각각 상금 500만, 200만을 넘겼고 나머지는 사실 비등했지만 그 중에서도 성적이 높았던 편이다.] * 2022년 3월 8일 모든 멤버가 트위치 팔로우 10만 명을 달성했으며, 같은 날 유튜브에 이세계 아이돌 음악 채널이 개설되었다. [[https://youtube.com/channel/UCDWNzn-bQrZ0VNh-4LqT1VA|#]] * 이세계 아이돌 멤버들이 방송 활동을 하면서 얻은 수익은 온전히 각 멤버들이 가져가고, 우왁굳은 전혀 관여하지 않는다. 오히려 음악 활동을 지원하면서 이래저래 돈을 쓰고 있는 상황이며, 이세돌과 관련된 광고 제의도 거절하고 있어서 반대로 멤버들이 자신들을 이용해서 우왁굳이 돈을 좀 더 많이 벌기를 바라고 있다. [[https://clips.twitch.tv/TiredAffluentVampireBigBrother-0lUchm0l50sQSwRx|#]] * 현재 우왁굳이 이세돌을 통해 가져갈 만한 수입은 발표곡들의 음원수익 및 저작권료 정도밖에 없어 보인다. 이마저도 프로듀서로서의 수입이라고는 할 수 있어도, 기획사 사장으로서의 수입으로 보기엔 어렵다. 이세돌 멤버들과의 방송으로 양질의 콘텐츠를 만들어내 수입이 생긴다 해도 그 또한 우왁굳 본인이 처음에 말했듯 '우왁굳 방송의 콘텐츠'일 뿐이지 '아이돌&가수'로서, '연예인'으로서의 이세돌로 창출하는 수입은 아니다. 애초에 이들 사이에 여타 기획사-가수들처럼 정식 계약서가 있을지도 의문.[* 그렇다고 우왁굳이 기획사 사장으로서의 일을 안 하는 것도 아니다. 싱글 발표 일정 등 팀의 큰 방향을 정하고, 작곡가에게 곡을 모집 및 의뢰하고, 곡의 작사 및 녹음 과정에서 총괄 프로듀싱을 해내고, 곡의 믹싱이나 뮤직비디오에서는 본인 피셜 '''업계 최고''' 수준의 사람들을 섭외하는 등 하는 일은 엄연한 기획사 사장이 맞는데, 수입구조는 기존 기획사 사장과 전혀 다른 게 재미있는 점이다. 이는 우왁굳이 사장으로 있다는 [[왁 엔터테인먼트]]가 정식으로 존재하는 법인이 아닌 '''가상 회사'''라는 점이 원인으로 보이는데, 일단 우왁굳이 정식으로 이세돌 멤버들과 계약을 맺었으므로 앞으로는 이들의 수익 구조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부분은 5월 14일 방송에서 우왁굳이 직접 멤버 전원과 법적으로 계약을 맺었다는 사실을 밝히면서 해결되었다. 우왁굳 본인은 이세돌 프로젝트가 생각외로 초장기 프로젝트가 될 것 같기도 하고, 왁타버스 내외에서 크고 작은 프로젝트가 계속 진행 중이기에 기존까지 우왁굳 혼자서 모든 걸 총괄하던 방식이 어려울 것으로 생각하여 정식 계약을 체결하고 구조를 체계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 2집 발표 후 [[우왁굳]]의 방송에서 이세계 아이돌 멤버들이 각각 100만 원씩, 총 600만 원 상당의 도네를 보내는 일이 있었다. 이에 대해서 우왁굳은 진심으로 감사해하긴 했지만 너무 부담스러우니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받겠다고 언급했다.[* 생방송 당시 이를 지켜보던 팬치들은 독립한 자녀가 부모에게 첫 월급을 주는 것에 비유하곤 했다.] * 이세계 아이돌의 성장세가 2022년 초부터 여러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시작한 후, 팬들이 개인 방송을 켠지 얼마 지나지 않은 우왁굳과 이미 한창 방송을 진행중이던 이세돌 멤버의 시청자 수를 비교하며 나작왁[* '''나'''보다 '''작'''은 '''왁'''굳의 약자.] 드립을 치는 일이 간혹 있었다. 이러한 행위가 너무 잦아지자 우왁굳과 이세계 아이돌 멤버들은 이를 자제해 달라고 당부하였다. [[왁물원]]에선 아예 활동 정지 사유인데, 시청자 수를 비교하는 행위는 팬덤 간 분쟁으로 이어질 수도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많은 팬들이 부정적으로 반응한다. * 2022년 4월 1일 [[만우절]]을 기념해서 멤버들끼리 서로 아바타와 컨셉, [[:파일:이세계아이돌 만우절.jpg|트위치 프로필 사진]]을 바꿔서 방송을 진행했다.[* [[아이네]] → [[비챤]], [[비챤]] → [[고세구]], [[고세구]] → [[릴파]], [[릴파]] → [[징버거]], [[징버거]] → [[주르르]], [[주르르]] → [[아이네]]. 바꿀 멤버는 사다리타기를 통해 결정했다고 한다.] 논의 당시 릴파가 코로나19, 고세구가 성대결절에 걸렸는지라 이벤트를 준비해야 하나 고민했지만 오히려 이 둘이 제일 적극적이었다고. * 2022년 4월 5일을 기점으로 모든 멤버가 트위치 팔로워 10만, 파트너 스트리머, 유튜브 구독자 10만 명을 달성했다. * 팬이 만들어준 [[왁 엔터테인먼트]] 비공식 홈페이지 내에 [[https://www.wakentertainment.com/isedol|이세계 아이돌 사이트]]에서 프로필과 앨범 및 커버 곡들을 확인할 수 있다. == 관련 문서 == * [[아이돌]] * [[걸그룹]] * [[우왁굳]] * [[왁 엔터테인먼트]] * [[가상현실]] * [[버츄얼 유튜버]] * [[인플루언서#s-4|버츄얼 인플루언서]] * [[사이버 가수]] * [[메타버스]] * [[VR]] * [[나와 이세돌 이야기]] == 여담 == 기상송으로 Rewind가 나온적 있다. == 출처 == [include(틀:포크/나무위키, doc=이세계 아이돌, rev=1785)]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우왁굳/콘텐츠/VR챗, version=75)] [[분류:이세계 아이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