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최근 토론
무작위
도구
스킨 설정
파일 올리기
도구
최근 편집
최근 토론
역사
PASS
(원본) (r16)
{{{#!wiki style="text-align:center" [[분류:동아리]][[분류:인성동아리]] ||<-2><:><tablewidth=300px><tablealign=center> {{{+2 '''PASS'''}}}|| ||<-2> [[파일:PASS.png|width=300]] || || '''과목''' || [[항공우주공학]] || || '''동아리실''' || [[물리실]] ||}}} [목차] == 개요 == [[경기북과학고등학교]] 자율동아리. 2023년 로켓 소모임 (인동이 될 예정) 이었던 NALDA를 흡수하여 진정한 항공우주동아리로 거듭나게 되었다. ==구성== PASS는 크게 항공부와 로켓부로 구성된다. 17~19기를 모두 합해 19명이며 약 절반가량이 항공부, 나머지 절반가량이 로켓부에 속해있다. 기장과 부기장은 양쪽 모두를 관할한다. ===항공부=== 2022년까지의 PASS. 항공우주공학 세미나를 진행하고, 중대형 RC 비행기나 드론 등을 제작하고 연구한다. ===로켓부=== 2023년 신설된 부서. 사실상 NALDA와 동일하다. 주로 고체연료 로켓을 제작하고 연구한다. 또한 PID를 이용한 자세제어, 장거리 무선통신, 모든 학생들이 참가할 수 있는 오픈세미나를 계획 중이다. ==활동 목록== ===항공부=== ====RC 항공기 제작==== 팀을 나눠 총 약 4대 정도의 고정익 항공기를 제작했으나 시간 부족 등의 이유로 정상적인 비행을 하지 못했다. 앞으로 랜딩기어 장착, 고성능 모터 추가 장착 등으로 개선해나갈 예정 2023년부터 ====드론 제작==== 15, 16기가 진행하던 드론 연구를 올해부터 다시 이어서 한다. 목표는 약 50kg 정도의 탑재체--폭발물--을 싣고 원하는 곳으로 이송--발사--하는 것 ===로켓부=== ====지상 연소 시험==== =====1차 지상 연소 시험===== 실질적으로 추력을 내는 첫 모터를 제작하고 이를 시험했다. 주 목적은 제작한 연료 및 모터의 정상 작동 여부 및 추력 측정. 약 230g의 KNSB가 사용되었으며 순간 추력 1500N 이상, 평균 약 500N 이상의 추력을 발생 시키는데 성공했다.[* 다만 해당 실험에서 센서가 크게 파손된만큼 해당 수치에 대해선 지금까지도 PASS 내에서 논란이다. 지속적인 분석을 진행 중] 하지만 챔버의 압력을 잘 통제하지 못해 가스의 분출이 반대쪽으로도 이루어져 추력 측정 장치로 사용하던 힘 센서를 태워버렸다. [[https://www.youtube.com/shorts/D469exSHsBU|영상]] =====2차 지상 연소 시험===== 첫 모터와 거의 비슷하게 개발된 두 번째 모터를 제작하고 역시 시험했다. 장비 조작 문제로 추력 측정에는 실패했으나 연료가 기대 이상으로 잘 연소하여 연료 제작에 대한 확신을 얻을 수 있었다. [[https://www.youtube.com/shorts/N7LgIeqgctA|영상]] =====3차 지상 연소 시험===== 기존 모터보다 커진 크기, 많아진 연료량, 그리고 특히 개선된 노즐과 연소실로 훨씬 높은 추력을 낼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연료가 충분히 굳지 않은 상태에서 급하게 실험을 진행한 관계로 연료의 코어가 무너져버렸고 추력이라고 할 수 있는 유의미한 힘을 내지 못했다. [[https://www.youtube.com/shorts/nxPjplVdDVk|영상]] =====4차 지상 연소 시험(예정)===== 2023년 4월 25일~27일에 예정되어있는 지상 연소 시험이다. 기존에 비해 훨씬 크고 아름다운 노즐과 연소실로 제작될 예정이다. 설계는 모두 끝마친 상황이고 현재 외부 업체와 제작에 대해 협의 중이다. ====시험 발사===== =====발사 일람===== ||No.||발사 일자||사용 기체||페이로드||총 중량||도달 고도||결과|| ||01||2022/12/28||시제-1||-||약0.3kg||약 4m||이륙 성공 --인명피해--|| ||02||2022/12/30||시제-2||-||약0.3kg||약 15m||성공 --사유지 침해, 방화 미수--|| ||03||2023/01/02||시제-2A||-||약0.4kg||약 3m||공중 폭발|| ||04||2023/01/18||시제-2A1||-||약0.6kg||약 4m||재블린|| ||05||2023/04/28(예정)||NALDA-1(제작 중)||-||약1kg(예정)||-||-|| ||06||2023/05 1~2주차||NALDA-1A(개량형, 예정)||0.2kg(예정)||약1.2kg(예정)||-||-|| ||07||2023/05/24 17:24:00||NALDA-1(예정)||-||약1kg(예정)||-||-|| =====1차 시험 발사=== 1차, 2차 지상 연소 시험 이후 모터 제작에 대해 어느정도 확신을 가지고 실제로 로켓을 제작하여 발사를 진행했다. 유사 비행에는 성공했으나 근처에서 발사를 구경하던 두 학생에게 큰 상해를 입힐뻔했다. 심지어 로켓이 지상에 떨어진 후에도 계속해서 추력을 내어 땅을 빠른 속도로 질주했는데 한 학생은 이를 점프로 피하기도 했다. [[https://www.youtube.com/shorts/VxQEMkwIAOY||영상]] =====2차 시험 발사===== 비행 성공에 초점을 두고 다시 로켓을 제작, 발사했다. 특히 비행 안정성 개선을 위해 큰 날개를 부착했다. 학부모 총회(?)로 인해 운동장이 주차장으로 사용되었고 안전을 위해 발사 장소를 연못으로 옮겼다. 마침 연못도 얼어있어 담당 선생님의 권유로 얼어있는 연못 한가운데서 발사를 진행했다. 1차 발사때와 마찬가지로 회전은 하였으나 매우 높고 긴 포물선 궤도를 그리며 학교 담장을 넘어 사유지로 떨어졌다. 역대 PASS(NALDA)의 발사 중 가장 성공적인 발사라고 할 수 있다. 이 발사는 금요일에 진행되었는데 대부분의 학생이 집에 돌아가고 있는 시간에 국방부의 한국형 고체로켓 2차 시험발사가 있었고 때마침 황혼현상으로 인해 전국민, 그리고 주변 국가들에서도 해당 장면이 관측되었다. 이에 PASS(당시 NALDA)가 국방부, 국방과학연구소와 관련되어있는 것이 아니냐는 논란이 생겼다. 물론 이는 사실이 아니지만[* 근데 기장은 국방부, 외교부와 협력하는 국방과학기술연구에 초청받은 적이 있다] 결론적으로 같은날 국방부보다 약 4시간 먼저 고체로켓 발사에 성공(?)하게 되었다. [[https://www.youtube.com/shorts/gDpW7LOsqy4|영상]] =====3차 시험 발사===== 기존의 발사 실패 원인이 연소실의 압력을 견디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어 이 부분을 강화하여 제작했다. 하지만 이번에도 연소실이 압력을 견디지 못해 폭발했고 노즐이 매우 빠른 속도로 --탄두마냥-- 발사되었다. 당시 노즐은 강화를 위해 굉장히 단단하고 무거운 물질로 이루어져있었고 상당히 위험한 상황이였으나 다행히 수직으로 날아가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https://www.youtube.com/shorts/WUOua2b80Ss|영상]] =====4차 시험 발사===== 본격적으로 발사대 시스템을 도입했다. 기존에는 실험용 스탠드를 이용했으나 로켓이 점차 커지고 스태드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 되자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발사대를 제작했다. 4번째 발사마저 엄청난 회전을 보였는데 이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여태까지의 발사 실패 원인을 모두 찾았다. [[https://www.youtube.com/shorts/j2CP0TUTt-4|영상]] =====5차 시험 발사(예정)===== 기존의 문제점들을 대부분 개선해 제작, 발사할 예정이다. 4차 지상 연소 시험이 성공적으로 진행될 경우 높은 확률로 바로 제작에 돌입한다. 목표는 수직 비행으로 회전하지 않고 예정된 고도만큼 올라가는 것이다. 2023년 4월 12일 모든 설계가 완료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v3VpcdkDuY4&t=0s|영상]] =====6차 시험 발사(예정)===== 5차 시험 발사가 성공할 경우 본격적으로 각종 센서와 제어 장치가 탑재되기 시작할 예정. =====7차 시험 발사(예정)===== 2023년 5월 24일 17시 24분 00초에 발사될 예정이다. 이는 누리호의 3차 발사 예정 시각 정확히 1시간 전이다. 안정적인 발사를 위해 5차 시험 발사의 시제기가 동일하게 사용될 가능성이 높다. 라이브 방송을 진행할 예정이다. ==SNS== 대부분의 지상 연소 실험, 시험 발사 등은 인스타그램과 YouTube에 업로드 되고 있다. 단순 실험 영상 뿐만 아니라 각종 공지나 홍보, 유익한 자료들이 업로드 될 예정이다. 공식 사이트도 있다. --홍보용-- [[https://www.instagram.com/gbs.nalda/|공식 Instagram]] [[https://www.youtube.com/@gbsnalda/|공식 YouTube]] [[https://sites.google.com/ggh.goe.go.kr/nalda/main|공식 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