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 2023년 로켓 소모임 (인동이 될 예정) 이었던 NALDA와 통합[*v 사실상 흡수에 가깝다]하여 진정한 항공우주동아리로 거듭나게 되었다.
37 : 장비 조작 문제로 추력 측정에는 실패했으나 연료가 예상 속도기대 이상으로 잘 연소하여
50 : ||발사 번호||발사 일자||사용 기체||페이로드||총 중량||결과||
51 : ||01||2022/12/28||시제1호||-||약0.3kg||이륙 성공 --인명피해--||
52 : ||02||2022/12/30||시제2호||-||약0.3kg||성공 --사유지 침해, 방화 미수--||
53 : ||03||2023/01/02||시제3호||-||약0.4kg||공중 폭발||
54 : ||04||2023/01/18||시제4호||-||약0.6kg||재블린||
55 : ||05||2023/04/28(예정)||NALDA-1(제작 중)||-||약1kg(예정)||-||
56 : ||06||2023/05 1~2주차||NALDA-1A(개량형, 예정)||0.2kg(예정)||약1.2kg(예정)||-||
57 : ||07||2023/05/24 17:24:00||NALDA-1(예정)||-||약1kg(예정)||-||
58 :
59 : =====1차 시험 발사=====
61 : 유사 비행에는 성공했으나 근처에서 발사를 구경하려던 두 학생에게 큰 상해를 입힐뻔했다.
72 : 국방부, 국방과학연구소와 관련되어있는 것이 아니냐는 논란이 생겼다. 물론 이는 사실이 아니지만[*v 근데 기장은 국방부, 외교부와 협력하는 국방과학기술연구에 초청받은 적이 있다] 결론적으로 같은날 국방부보다 약 4시간 먼저 고체로켓 발사에 성공(?)하게 되었다.
90 : 5차 시험 발사가 성공할 경우 본격적으로 각종 센서와 제어 장치가 탑재되기 시작할 예정.
91 : =====7차 시험 발사(예정)=====
92 : 2023년 5월 24일 17시 24분 00초에 발사될 예정이다.
93 : 이는 누리호의 3차 발사 예정 시각 정확히 1시간 전이다.
94 : 안정적인 발사를 위해 5차 시험 발사의 시제기가 동일하게 사용될 가능성이 높다.
95 : 라이브 방송을 진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