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 약 230g의 KNSB가 사용되었으며 순간 추력 1500N 이상, 평균 약 500N 이상의 추력을 발생 시키는데 성공했다.
45 : =====4차 지성상 연소 시험(예정)=====
51 : 1차, 2차 지상 연소 시험 이후 모터 제작에 대해 어느정도 확신을 가지고 실제로 로켓을 제작하여 발사를 진행했다.
52 : 유사 비행에는 성공했으나 근처에서 발사를 구경하려던 두 학생에게 큰 상해를 입힐뻔했다.
53 : 심지어 로켓이 지상에 떨어진 후에도 계속해서 추력을 내어 땅을 빠른 속도로 질주했는데 한 학생은 이를 점프로 피하기도 했다.
54 : [[https://www.youtube.com/shorts/VxQEMkwIAOY||영상]]
55 : =====2차 시험 발사=====
56 : 비행 성공에 초점을 두고 다시 로켓을 제작, 발사했다. 특히 비행 안정성 개선을 위해 큰 날개를 부착했다.
57 : 학부모 총회(?)로 인해 운동장이 주차장으로 사용되었고 안전을 위해 발사 장소를 연못으로 옮겼다.
58 : 마침 연못도 얼어있어 담당 선생님의 권유로 얼어있는 연못 한가운데서 발사를 진행했다.
59 : 1차 발사때와 마찬가지로 회전은 하였으나 매우 높고 긴 포물선 궤도를 그리며 학교 담장을 넘어 사유지로 떨어졌다.
60 : 역대 PASS(NALDA)의 발사 중 가장 성공적인 발사라고 할 수 있다.
61 : [[https://www.youtube.com/shorts/gDpW7LOsqy4|영상]]
62 : =====3차 시험 발사=====
63 : 기존의 발사 실패 원인이 연소실의 압력을 견디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어 이 부분을 강화하여 제작했다.
64 : 하지만 이번에도 연소실이 압력을 견디지 못해 폭발했고 노즐이 매우 빠른 속도로 --탄두마냥-- 발사되었다.
65 : 당시 노즐은 강화를 위해 굉장히 단단하고 무거운 물질로 이루어져있었고 상당히 위험한 상황이였으나
66 : 다행히 수직으로 날아가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67 : [[https://www.youtube.com/shorts/WUOua2b80Ss|영상]]
68 : =====4차 시험 발사=====
69 : [[https://www.youtube.com/shorts/j2CP0TUTt-4|영상]]
70 : =====5차 시험 발사(예정)=====
72 : =====7차 시험 발사(예정)=====
73 :
74 : ==SNS==
75 : 대부분의 지상 연소 실험, 시험 발사 등은 인스타그램과 YouTube에 업로드 되고 있다.
76 : 단순 실험 영상 뿐만 아니라 각종 공지나 홍보, 유익한 자료들이 업로드 될 예정이다.
77 : [[https://www.instagram.com/gbs.nalda/|공식 Instagram]]
78 : [[https://www.youtube.com/@gbsnalda/|공식 YouT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