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PASS (비교)

5 : || '''과목''' || [[지구과항공우주공학]] ||
6 : || '''동아리실''' || [[(동아리실)]]  ||}}}
11 : 2023년 로켓 소모임 (인동이 될 예정) 이었던 NALDA와 통합하여 진정한 항공우주동아리로 거듭나게 되었다.
12 : 
13 : ==구성==
14 : PASS는 크게 항공부와 로켓부로 구성된다.
15 : ===항공부===
16 : 2022년까지의 PASS.
17 : 항공우주공학 세미나를 진행하고, 중대형 RC 비행기나 드론 등을 제작하고 연구한다.
18 : ===로켓부===
19 : 2023년 신설된 부서. 사실상 NALDA와 동일하다.
20 : 주로 고체연료 로켓을 제작하고 연구한다.
21 : 또한 PID를 이용한 자세제어, 장거리 무선통신, 
22 : 모든 학생들이 참가할 수 있는 오픈세미나를 계획 중이다.
23 : 
24 : ==활동 목록==
25 : ===지상 연소 시험===
26 : ====1차 지상 연소 시험====
27 : 실질적으로 추력을 내는 첫 모터를 제작하고 이를 시험했다.
28 : 주 목적은 제작한 연료 및 모터의 정상 작동 여부 및 추력 측정.
29 : 순간 추력 1500N 이상, 평균 약 500N 이상의 추력을 발생 시키는데 성공했다.
30 : 하지만 챔버의 압력을 잘 통제하지 못해 가스의 분출이 반대쪽으로도 이루어져
31 : 추력 측정 장치로 사용하던 힘 센서를 태워버렸다.
32 : [[https://www.youtube.com/shorts/D469exSHsBU|영상]]
33 : ====2차 지상 연소 시험====
34 : 첫 모터와 거의 비슷하게 개발된 두 번째 모터를 제작하고 역시 시험했다.
35 : 장비 조작 문제로 추력 측정에는 실패했으나 연료가 예상 속도 이상으로 잘 연소하여
36 : 연료 제작에 대한 확신을 얻을 수 있었다.
37 : [[https://www.youtube.com/shorts/N7LgIeqgctA|영상]]
38 : ===3차 지상 연소 시험===
39 : 기존 모터보다 커진 크기, 많아진 연료량, 그리고 특히 개선된 노즐과 연소실로
40 : 훨씬 높은 추력을 낼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연료가 충분히 굳지 않은 상태에서 급하게 실험을 진행한 관계로
41 : 연료의 코어가 무너져버렸고 추력이라고 할 수 있는 유의미한 힘을 내지 못했다.
42 : [[https://www.youtube.com/shorts/nxPjplVdDVk|영상]]
43 : ===4차 지성 연소 시험(예정)===
44 : 2023년 4월 25일~27일에 예정되어있는 지상 연소 시험이다.
45 : 기존에 비해 훨씬 크고 아름다운 노즐과 연소실로 제작될 예정이다.
46 : 설계는 모두 끝마친 상황이고 현재 외부 업체와 제작에 대해 협의 중이다.
47 : ===시험 발사===
48 : ====1차 시험 발사====
49 : ====2차 시험 발사====
50 : ====3차 시험 발사====
51 : ====4차 시험 발사====
52 : ====5차 시험 발사(예정)====
53 : ====6차 시험 발사(예정)====
54 : ====7차 시험 발사(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