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PASS (비교)

59 : 2023년 4525일~2719일에 예정되어있는 지상 연소 시험이다.
60 : 기존과 완전히 달라진 비해설계 훨씬및 제작 크고방식으로 아름다운만들어진 노즐과 연소실 제작될사용할 예정계획이다.
61 : 설계는 모두 끝마친 이론황이고 현재평균 외부추력 업체와180N, 제작에 대해최고 협의추력 250N급이다.
69 : ||05||2023/045/282(예정)||NALDA-1(제작 중)||-||약1kg(예정)||-||-||
70 : ||06||2023/05 1~2주차||NALDA-1A(개량형, 예정)||0.2kg(예정)||약1.2kg(예정)||-||-||
71 : ||07||2023/05/24 17:24:00||NALDA-1(예정)||-||약1kg(예정)||-||-||
73 : 1차, 2차 지상 연소 시험 이후 모터 제작에 대해 어느 정도 확신을 가지고 실제로 로켓을 제작하여 발사를 진행했다.
99 : 기존의 문제점들을 대부분2023년 개선해5월 제작,19일 발사할진행될 예정이다.
100 : 4차 지상 연소 시험이 성공적으로하면 5월 22일 진행될 경우 높은 확률로 바로 제작에 돌입한계획이다.
101 : 목표는 가능한 수직 비행으로 회전하지 않고 예정된300m 고도만큼까지 올라가비행하는 것이다.
102 : 2023년 4월 12일 모든 설계가 완료되었다.
103 : [[https://www.youtube.com/watch?v=v3VpcdkDuY4&t=0s|영상]]
104 : =====6차 시험 발사(예정)=====
105 : 5차 시험 발사가 성공할 경우 본격적으로 각종 센서와 제어 장치가 탑재되기 시작할 예정.
106 : =====7차 시험하면 발사(예정)=====
107 : 2023년 5월 24일 17시 24분 00초에 발사될 예정이다.
108 : 이는 누리호의 3차 발사 예정 시각 정확히 1시간 전이다.
109 : 안정적인 발사를 위해 5차 시험 발사의 시제기가 동일하게 사용될 가능성이 높다.
110 : 라이브 방송을 진행할 예정이다.